윤리와 사상 - 근대 한국 윤리 사상의 전개
2020. 7. 28. 21:11ㆍ윤리와 사상
1. 양명학 (16C)
1) 정제주
2) 광화도의 근거치 (강화학파)
3) 도덕 문제의 판단 기준은 그것을 인식하고 실천하는 주체인 나 자신에게 있음을 강조
2. 실학 (17~19C)
1) 청나라 고증학, 서구문물을 도입
2) 민생안정과 사회개혁이라는 현실문제 해결을 중시
3. 위정척사론 (19C)
1) 성리학의 전통을 계승
2) 유학자들은 존화양이 (오랑캐를 물리친다는 뜻으로, 조선시대 성리학적 명분론에 입각해 취한 대외정책)의 정신에 입각
3) 의병활동과 독립투쟁으로 이어짐
4. 개화사상 (17C 말)
1) 개발하여 변화시키고, 새로운 것에 나아가 자립하며, 장점을 기르고 단점을 버린다
2) 개화사상의 두가지 입장
- 급진 개화론: 종래의 유교 사상에 부정적 입장
- 온건 개화론: 동도서기론 (유교적 질서를 지키며 서양의 우수한 문불을 수용하자는 입장)
5. 애국계몽운동 (20C): 일본의 식민 정책이 본격화되자 지식인들은 국권회복을 위한 국가 전반 실력양성 추진
1) 1905~1910년 사이에 전개된 개화자강파의 국권회복을 위한 실력 양성운동의 총칭. 을사조약에 의하여 1905년 11월 일본제국주의자들에게 국권의 일부를 빼앗기게 되자 새로이 당면한 민족적 과제로서 국권회복운동을 광범위하게 전개하게 되었다.
2) 특히 박은식은 양명학에 입각한 유교의 개혁을 통해 국권을 회복하고자 노력함.
'윤리와 사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윤리와 사상 - 소피스트와 상대주의적 진리관 (0) | 2020.10.18 |
---|---|
윤리와 사상 - 근대 신흥 종교 사상 (0) | 2020.07.28 |
윤리와 사상 - 도교와 한국 고유 사상과의 융합 (0) | 2020.07.28 |
윤리와 사상 - 도가 사상의 영향 (0) | 2020.07.28 |
윤리와 사상 - 무의자연의 윤리 (0) | 2020.07.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