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리와 사상 - 도교와 한국 고유 사상과의 융합
2020. 7. 28. 21:05ㆍ윤리와 사상
신라 최치원 '난란비서'에서 "유,불,도가 전래하기 이전에 이미 현모한 도로서 풍류가 있었다." > 이미 우리나라는 신성 사상을 비롯해 도교와 유사한 사상이 있었음
1. 도교는 국가적 차원에서 수용
고구려: 재초 (하늘을 비롯한 여러 신에게 재앙을 물리치고 복을 내리도록 비는 도교제례)
고려: 삼성초 (강화도에서 시행하는 민족 고유 제천행사)와 결합한 국가적인 연례행사
불교에 도교적인 성격이 가미된 팔관회 거행
도교 행사를 관장하는 도관을 세우고, 도사를 배출
2. 도교는 양생술을 중심으로 수용
양생술의 무병장수와 건강에 대한 관심 > 우리나라 의학 발전에 이바지
EX) 성리학자인 퇴계 이황의 '활인심방;이라는 도인 체조법
3. 도교는 민간에서 숭배하는 대상으로 자연스럽게 수용됨
1) 인간의 길흉화복을 관장하는 옥황상제, 성황, 칠성, 조왕에게 기원
2) 재액을 피하고 행복한 삶을 보장받으려는 부적도 널리 사용
3) 기복과 실천 가능한 규율을 담은 권선서
4) 민간도교는 조선 말기에 이르러서는 기존 질서의 해체와 재통합을 목표로 하는 신흥 종교 운동으로 이어짐
'윤리와 사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윤리와 사상 - 근대 신흥 종교 사상 (0) | 2020.07.28 |
---|---|
윤리와 사상 - 근대 한국 윤리 사상의 전개 (0) | 2020.07.28 |
윤리와 사상 - 도가 사상의 영향 (0) | 2020.07.28 |
윤리와 사상 - 무의자연의 윤리 (0) | 2020.07.28 |
윤리와 사상 - 한국 불교의 특징 (0) | 2020.07.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