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 7. 28. 21:00ㆍ윤리와 사상
1. 도가와 도교의 구분
도가는 주로 노자와 장자의 가르침
도교는 도가 사상에 민간 신앙적 요소와 신선 사상이 더해져 종교적 교단을 갖추고 불로장생을 추구하며 양생술을 비롯한 수련 도교 등을 전개
2. 도교: 백성들에게 종교적인 구원을 선전 > 도교 윤리의 변형
- 선행 강조: 도덕적 선행을 하면 질병이 낫게 되고, 영원히 죽지 않는 신선이 될 수 이싿고 함
1) 황로학파와 태평도/오두미교
- 한 초의 황로학파: 황제와 노자 숭상, 청정 무위 주장
- 한 말
장각의 태평도: 모두가 잘 사는 태평한 세상을 건설하고자 하는 교단
장릉의 오두미교: 쌀 다섯 말을 내고 교단에 가입하는 교단, 도덕경을 암송하고 삼관수서를 행하면 장생불사할 수 있다고 주장 (삼관수서: 천지수의 삼관에게 자신의 죄를 고백하고 다시 죄를 짓지 않을 것을 맹세하는 글을 써서 바치게 하는 것을 말함)
2) 현학
- 위진의 현학: 눈앞의 현실 세계는 인간의 고정 관념에 의해 이루어진 것 > 진실한 세계는 고정 관념을 초월한 무의 세계
- 은둔과 청담: 현학자들은 인간의 현실을 초월한 우주론적 최고 원리의 경지를 초월한 철학적, 예술적인 사우와 가치를 중시함, 죽림칠현
- 현학의 성격:
신비주의 및 사변 철학으로 변형됨
쾌락주의 및 공리주의 성격을 띰
개인주의적 경향이 심화 됨
3) 공과격: 송 대에 이르러 유교와 불교의 영향을 받아 윤리적 행동을 요구하는 권선서로서, 선악에 대한 대차 대조표의 성격을 지닌 공과격이 등장
'윤리와 사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윤리와 사상 - 근대 한국 윤리 사상의 전개 (0) | 2020.07.28 |
---|---|
윤리와 사상 - 도교와 한국 고유 사상과의 융합 (0) | 2020.07.28 |
윤리와 사상 - 무의자연의 윤리 (0) | 2020.07.28 |
윤리와 사상 - 한국 불교의 특징 (0) | 2020.07.28 |
윤리와 사상 - 한국의 불교 (0) | 2020.07.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