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교(4)
-
윤리와 사상 - 순자 편
순자의 윤리 사상 1. 성악설: 이기적 본성 > 자신의 이익과 쾌락 추구 2. 화성기위: 후천적 개인의 노력으로써 '본성을 교화하고 인위를 일으킬 것'을 강조함 - 순자는 인간이 태어날 때부터 시진 것(성)과 후천적인 노력에 의해 지니게 되는 것(위)를 구분하여야 한다고 봄 3. 순자의 예(禮) - 순자는 인성에 내재하는 도덕적 단서를 부정하기 때문에 예를 도덕규범의 원천이자, 정치적 통치의 근거로 삼았음 - 예는 고대 성왕이 세정한 외면적인 사회규범, 사람들을 성정을 선하게 변화시키고 재화를 공정하게 분배하게 위한 사회규범, 도덕 생활과 통치의 표준 4. 예치: 국가의 질서를 바로 세우는 중요한 덕목이므로, 예에의 해 국가가 통치되어야 한다고 강조하였다 - 순자: 예라는 것은 귀천의 등급을 매겨 주고,..
2020.07.16 -
윤리와 사상 - 맹자 편
맹자의 윤리 사상 1. 인과 의를 강조: 맹자가 살던 시기가 공자 시기보다 더 혼란 2. 성선설: 인간이란 선천적으로 순선한 존재 -) 인간은 차마 어찌하지 못하는 마음 (=불인인 지심)을 가지고 있음 -) 인간은 사단 (측은, 수오, 사양, 시비지심)을 가지고 태어남 측은지심 (불쌍하고 가엽게 여기는 마음) 수오지심 (불의를 부끄러워하고 미워하는 마음) 사양지심 (양보, 존경하는 마음) 시비지심 (옳고 그름을 분별하는 마음) -) 사단을 가지고 잘 함양하고 확충한다면 누구나 4덕을 완성하여 성인이 될 수 있음 3. 집의, 호연지기, 대장부 -) 사람은 사욕과 그릇된 혈기로 인하여 착한 마음을 잃어버리기도 함 -) 극복 방법: 시비를 분별하는 능력을 키우고 > 옳은 일을 반복 (=의를 쌓음) > 지극히 ..
2020.07.16 -
윤리와 사상 - 공자 편
공자의 윤리 사상 1. 공자의 윤리 사상의 배경: 하, 은, 주 삼대의 문화를 창조적으로 계승함 주나라 말기 기존 사회 제도와 질서가 무너지고 패권을 잡기 위한 제후국들이 피열하게 전개되던 혼란기 -) 사회혼란의 원인:도덕적 타락 ex) 공자 "아침에 도(道)를 들으면 저녁에 죽어도 좋다."=도덕성회복 강조 -) 사회혼란의 해결: 인간의 존엄과 인간에 대한 사랑을 도덕 성립의 근거로 확립함 =회복해야 할 도덕성으로 인(仁)을 제시 "효도와 공경이라는 것은 인을 실현하는 근본이다" 2. 공자와 인(仁)-인간의 타고난 내면적 도덕성 -) 사람을 사랑함=타인을 사랑하는 정신 -) 사랑다움, 인간다움(人) =사회적으로 완성된 인격체의 아름다움 -) 실천 덕목: 효(孝), 제(悌), 충(忠), 신(信) -) 서(..
2020.07.16 -
윤리와 사상 - 유교, 불교, 도가 간단 정리
1. 유교 1) 유교의 자연관 -하늘은 도덕규범의 원천 -하늘은 인간에게 도덕적인 마음과 도덕적으로 살아가라는 사명 (=天命; 천명) 을 부여함 -인간이 하늘의 뜻을 사회에서 실천하며 살아가는 것이 인간의 도리 2) 유교의 인간관: 도덕적 인간 (성인) -인간은 하늘의 기품과 땅의 형상을 가장 완벽하게 부여받은 중간적 존재 -이러한 본성을 삶 속에서 구현하기 위해 끊임없이 자신의 자기 수양에 힘써야 함 3) 유교의 생사관 -죽음에 대한 생각보다 현재에 충실할 것을 강조 공자 "삶을 다 알지 못하는데 어찌 사후 세계를 알겠느냐" 4) 유교의 이상적 사회 = 공자의 대동 사회, 맹자의 왕도 정치 -개인의 도덕적 수양과 실천을 통한 사회적 질서와 조화 2. 불교 1) 불교의 자연관 -연기설 (=인연생기설) 우..
2020.07.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