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 7. 16. 22:45ㆍ윤리와 사상
공자의 윤리 사상
1. 공자의 윤리 사상의 배경: 하, 은, 주 삼대의 문화를 창조적으로 계승함
주나라 말기 기존 사회 제도와 질서가 무너지고 패권을 잡기 위한 제후국들이 피열하게 전개되던 혼란기
-) 사회혼란의 원인:도덕적 타락
ex) 공자 "아침에 도(道)를 들으면 저녁에 죽어도 좋다."=도덕성회복 강조
-) 사회혼란의 해결: 인간의 존엄과 인간에 대한 사랑을 도덕 성립의 근거로 확립함
=회복해야 할 도덕성으로 인(仁)을 제시
"효도와 공경이라는 것은 인을 실현하는 근본이다"
2. 공자와 인(仁)-인간의 타고난 내면적 도덕성
-) 사람을 사랑함=타인을 사랑하는 정신
-) 사랑다움, 인간다움(人)
=사회적으로 완성된 인격체의 아름다움
-) 실천 덕목: 효(孝), 제(悌), 충(忠), 신(信)
-) 서(恕)의 자세:
="내 마음을 미루어 남에게 미친다"라는 뜻의 추기급인
="자신이 원하지 않는 일을 남에게 시키지 않는다" (기소볼육물시어인)
-충(忠)의 자세:서와 더불어 인을 실현하는 구체적인 방법
조금의 속임이나 꾸밈이 없이 온 정성을 다하는 것
-) 인을 완성하기 위해서는 자신을 끊임없이 수양하는 과정이 필요
-) 존비친소 구별이 있는 사랑
"사랑할 건 사랑하고 미워할 건 미워하라"
3. 공자의 예(禮)-외면적인 사회 규범
-) 인간이 행하여야 할 바른 도리
-) 인과 예는 표리관계로서, 예는 반드시 인을 바탕으로 삼아야 함
-) 극기 복례: 자기 자신을 이겨내고, 예를 회복하는 것
4. 공자의 정치•사회 사상
-) 수기안인: 통치자가 자신의 몸과 마음을 충실하게 수양한 뒤에 백성을 위한 다스림을 행하여야 함
-) 덕치주의: 도덕과 예의로써 백성을 교화
-) 정명 정신: 지위에 상응한 책임과 의무
-) 대동 사회: 더불어 잘 사는 이상 사회
5. 공자의 사상은 맹자나 순자에 의해서 계승되어 발전함
6. 묵자 vs 공자
사진 참조
'윤리와 사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윤리와 사상 - 양명학 편 (0) | 2020.07.16 |
---|---|
윤리와 사상 - 성리학 (0) | 2020.07.16 |
윤리와 사상 - 순자 편 (0) | 2020.07.16 |
윤리와 사상 - 맹자 편 (0) | 2020.07.16 |
윤리와 사상 - 유교, 불교, 도가 간단 정리 (0) | 2020.07.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