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 7. 16. 22:49ㆍ윤리와 사상
송나라 주자(주희)의 성리학
1. 사상 배경
- 송나라 유학자들이 공자와 맹자의 시상을 중심으로 유가 경전을 새롭게 해석
- 불교와 도가 등 일부 사상을 수용함으로써 도덕 법칙의 탐구 방법을 체계화하고자 함
- 주희(주자)가 집대성
2. 우주론=이기론
- 세상은 이와 기로 구성되어 존재
- 이는 우주 만물의 근원이 되는 이치
- 기는 만물을 구성하는 재료나 도구
- "이과 기는 확실히 서로 다른 두 가지 실체이다 (이기불상잡) 다만 사실상을 보면 이와 게는 서로 뒤엉켜 있어서(이기불상리) 각각 따로 떨어져 있다고 말할 수 없다(이기불상잡)
3. 성리학의 뜻
1) 인간의 성=리 (성즉리 性卽理)
- 인간의 본성은 천리로서 순수하고 절대적인 선 그 자체라고 하는 관점을 토대를 확립함
- 주희가 보기에 인간은 '이(理)' 라는 본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누구나 본래적으로 선한 존재로서 도덕적 행위가 가능하다 그러므로 수양을 통해 본성의 선함을 회복하고 이를 사회적으로 실ㅊㄴ해야 한다고 함
2) 심통성정: 마음은 성정을 다스린다
- 마음이란 성(性)과 정(精)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성(性)은 마음의 본체, 정(精)은 마음의 작용이라 생각했음
- 칠정: 희 (기쁨), 노 (슬픔), 애 (슬픔), 구 (두려움), 애 (사랑), 오 (미움), 욕 (욕심)
- 사단: 측은지심 (불쌍하고 가엽게 여기는 마음), 수오지심 (불의를 부끄러워하고 미워하는 마음), 사양지심(양보하고 공경하는 마음), 시비지심 (옳고 그름을 분별하는 마음)
4. 인간의 성을 이와 기로 나누기
- 본연지성: 이에서 비롯된 성
인간의 마음속의 "이"
도덕적 본성
- 기질지성: 기에서 비롯된 성
인욕으로 인해 악으로 흐를 수 있음
5. 수양법
- 존천리 거인욕: 천리를 보존하고 인욕을 제거함
- 격물치지: 사물의 이치를 탐구하여 앎을 지극히 함 (=외부에서 찾아가는 것)
- 존양성찰: 양심을 보존하고 본성을 함양하며 반성하고 살핌
- 거경궁리: 경건한 자세를 유지하면서 (존양성찰) 사물의 이치를 탐구함 (격물치지) (= 마음을 항상 경건하게 하고 사물 속에 존재하는 이치를 궁구히 함)
- 경의 자세: 도덕법칙을 탐구할 때의 자세
- 주일무적: 마음을 한곳에 집중하여 잡념에 들지 않게 함
- 정제 엄숙: 몸가짐을 단정히 하고 엄숙한 태도를 유지함
- 상성성: 항상 깨어 있어서 또렷한 성신 상태를 유지할 것
'윤리와 사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윤리와 사상 - 이황 (0) | 2020.07.19 |
---|---|
윤리와 사상 - 양명학 편 (0) | 2020.07.16 |
윤리와 사상 - 순자 편 (0) | 2020.07.16 |
윤리와 사상 - 맹자 편 (0) | 2020.07.16 |
윤리와 사상 - 공자 편 (0) | 2020.07.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