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리와 사상 - 맹자 편
2020. 7. 16. 22:47ㆍ윤리와 사상
맹자의 윤리 사상
1. 인과 의를 강조: 맹자가 살던 시기가 공자 시기보다 더 혼란
2. 성선설: 인간이란 선천적으로 순선한 존재
-) 인간은 차마 어찌하지 못하는 마음 (=불인인 지심)을 가지고 있음
-) 인간은 사단 (측은, 수오, 사양, 시비지심)을 가지고 태어남
측은지심 (불쌍하고 가엽게 여기는 마음)
수오지심 (불의를 부끄러워하고 미워하는 마음)
사양지심 (양보, 존경하는 마음)
시비지심 (옳고 그름을 분별하는 마음)
-) 사단을 가지고 잘 함양하고 확충한다면 누구나 4덕을 완성하여 성인이 될 수 있음
3. 집의, 호연지기, 대장부
-) 사람은 사욕과 그릇된 혈기로 인하여 착한 마음을 잃어버리기도 함
-) 극복 방법: 시비를 분별하는 능력을 키우고
> 옳은 일을 반복 (=의를 쌓음)
> 지극히 크고 굳센 도덕적 기개인 호연지기를 갖춘 대장부가 되어야 함
4. 맹자의 정치사상
-) 공자가 생존했던 춘추시대 보다 더욱 혼란
-) 백성이 왕이나 사직보다 더 중요하다는 민본 의식을 제시
-) 패도 정치를 배척하고, 왕도 (덕치) 정치 주장
-) 왕이 여민동락의 왕도정치를 저버리고 왕 노릇을 제대로 못하면 물러나게 해야 함
=민본주의적 혁명사상
-) 선비는 무항산이라고 항심일 수 있으나 일반 백성들은 무항산이면 무항심임
5. 고자 vs 맹자
사진 참조

'윤리와 사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윤리와 사상 - 양명학 편 (0) | 2020.07.16 |
---|---|
윤리와 사상 - 성리학 (0) | 2020.07.16 |
윤리와 사상 - 순자 편 (0) | 2020.07.16 |
윤리와 사상 - 공자 편 (0) | 2020.07.16 |
윤리와 사상 - 유교, 불교, 도가 간단 정리 (0) | 2020.07.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