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53)
-
시의 내용
1. 화자의 정서 1) 정서의 개념: 일반적으로 사람의 마음에 일어나는 여러 가지 감정이나 기분을 가리킴. 흔히 말하는 희로애락(기쁨, 노여움, 슬픔, 즐거움)이 대표적인 정서에 해당됨. 시적 대상이나 상황에 대한 화자의 태도가 반영됨. 2) 정서의 종류 a. 긍정적인 정서: 사랑, 존경, 예찬, 환희, 동경, 희망, 기대, 그리움 등 b. 부정적인 정서: 미움, 분노, 공포, 비애, 우수, 절망, 원망 등 3) 정서의 특징 a. 서정시는 다른 갈래에 비해 화자의 정서가 핵심적인 내용이 되는 갈래이며, 정서는 시의 주제가 되기도 함 b. 한 작품 안에는 여러 가지 정서가 동시에 공존할 수 있으며, 그중에서도 지배적인 정서(=주제)가 있음 2. 소재 1) 소재의 개념 a. 시를 창작하는 데 바탕이 되는 모..
2021.02.24 -
시의 형식
1. 시의 형식의 개념과 특성 1) 율격(운율), 시행, 연 등의 요소가 시의 주제나 화자의 정서를 표현하면서 이루는 전체적인 형태나 구조를 가리킴. 크게 고정된 형식(정형시), 자유로운 형식(내제율)로 구별됨. a. 율격 (=운율) ㄱ. 효과: 리듬감, 음악성 ㄴ. 반복 i) 음운, 단어/구, 통사구조 => 내제율 (산문시, 자유시) ii) 음수(음수율) => 3∙4음수, 4∙4음수; 시조, 가사/7∙5음수; 민요 (외형율, 정형시) iii) 음보(음보율) => 3음보; 민요, 고려 속요/4음보; 시조, 가사 (외형율, 정형시) ㄷ. 의성어, 의태어 사용 (음성상징어 포함): 운율, 생동감 2) 시의 형식은 문화적으로 형성된 시 고유의 체계와 관습에 기반을 두고 있음. 2. 시의 형식과 층위들 1) 갈..
2021.02.24 -
정치와 법 - 민법의 이해
1. 민법의 의의 1) 민법: 개인의 생활 관계에 대한 국가의 간섭을 가능한 한 배제한다 재산관계나 가족 관계를 규율하는 대표적인 사법 개인의 재산권이 침해되었을 때 구제·절차를 구체적으로 다룬다 (x) a. 실체법 (vs절차법: 민사소송법) b. 일반법 (vs 특별법: 상법) 2) 재산과 관련: 재산궈느이 종류, 계약의 종류·내용, 계약 위반 문제, 손해 배상 문제 3) 가족과 관련: 약혼&혼인, 부모·자식간의 가족 관계, 유언&상속 2. 민법 구조 1) 총칙: 민법 전반에 관한 원인 규정 2) 재산법(물건, 채권): 재산권의 유무·범위 정함 a. 계약할 때 조건·내용·한계 규정 (for 원활한 성립) b. 고의·과실로 손해 발생 > 손해배상으로 재산권 보호 3. 민법의 기본 원리 (근대 시민사회) #..
2021.02.23 -
정치와 법 - 정치 주체의 역활과 참여
1. 정당 1) 정치적 충원: 선거에 후보자를 공천하여 대표자 배출 2) 여론 형성과 조직 3) 정부 통제; 여당 (대통력이 속한 당): 정부-국민, 야당(대통령이 속하지 않은 당): 정부 정책 비판 2. 정치 참여 1) 가입: 공직 후보자로 출마, 정책 제안 참여 2) 미가입: 투표, 공청회 참여 3) 한계: 당원들의 의견 무시, 사회적 요구 수렴 감소 3. 정당 제도의 유형 1) 일당제: 하나의 정당 2) 복수정당제 a. 일당우위제: 하나의 정당 권력 장악+나머지... b. 양당제: 두 개의 주요 정당이 경쟁 정치적 책임 소재 명확, 다양한 의견 반영 적음 c. 다당제: 세 개 이상의 정당이 경쟁하는 정당 제도 군소 정당 난립시 불안정해짐, 다영한 의견 반영, 정당간 연합 발생
2021.02.23 -
시적 표현의 여러가지 효과
2. 시적 표현의 여러 가지 효과 1) 음악적인 리듬 (운율감)이 느껴지게 함 a. 운율감 (=율격, 리듬감, 음악성) b. 반복 ㄱ. 음운 ㄴ. 단어, 구 ㄷ. 통사구조 => 음운, 단어, 구, 통사구조의 반복은 내제율로 산문시, 자유시에 주로 사용 ㄹ. 음수 (음수율): 3, 4조/4, 4조; 시조, 가사 7,5조; 민요 ㅁ. 음보 (음보율): 3음보; 민요, 고려 속요 4음보; 시조, 가사 => 음수, 음보의 반복은 외형율로 정형시에 주로 사용 2) 시어의 함축성을 높여 의미를 풍부하게 함 3) 어떤 대상을 감각적으로 연상하게 함 a. 심상 ㄱ. 감각적 심상: 감각으로 느낄 수 있는 것 ㄴ. 정서적 심상: 기쁨, 슬픔 etc…. b. 구분 ㄱ. 공감각: 둘 이상의 감각이 전이됨 ex. 푸른 (시각)..
2021.02.17 -
시적 표현의 개념
1. 시적 표현의 개념 1) 시적 주제나 화자의 정서를 형상화하는 데 기여하는 일체의 언어적 표현을 가짐 a. 화자 ㄱ. 1인칭 시점: 나, 우리, 독백체, 작품 안에 화자 ㄴ. 3인칭 시점: 객관적 상관물, 제 3의 인물, 작품 밖의 화자 ㄷ. 나, 우리 (1인칭 시점), 객관적 상관물, 제 3의 인물 (3인칭 시점): 작가의 대리인 b. 정서 ㄱ. 드러내는 방법: 직접적, 행위, 자연물 ㄴ. 파악하는 방법: 문맥, 상황, 보편적 상징 2) 비유 (의인 포함), 상징, 역설, 반어, 대구, 반복, 설의, 영탄, 도치, 열거, 점층, 우의, 풍자 등의 표현 방법이 있음. a. 비유 ㄱ. 직유: 비슷한 성질이나 모양을 가진 두 사물을 ‘같이’, ‘처럼’, ‘듯이’와 같은 연결어로 결합하여 직접 비유하는 방..
2021.02.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