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 2. 24. 23:16ㆍ2022 수능특강 문학/개념
1. 시의 형식의 개념과 특성
1) 율격(운율), 시행, 연 등의 요소가 시의 주제나 화자의 정서를 표현하면서 이루는 전체적인 형태나 구조를 가리킴. 크게 고정된 형식(정형시), 자유로운 형식(내제율)로 구별됨.
a. 율격 (=운율)
ㄱ. 효과: 리듬감, 음악성
ㄴ. 반복
i) 음운, 단어/구, 통사구조 => 내제율 (산문시, 자유시)
ii) 음수(음수율) => 3∙4음수, 4∙4음수; 시조, 가사/7∙5음수; 민요 (외형율, 정형시)
iii) 음보(음보율) => 3음보; 민요, 고려 속요/4음보; 시조, 가사 (외형율, 정형시)
ㄷ. 의성어, 의태어 사용 (음성상징어 포함): 운율, 생동감
2) 시의 형식은 문화적으로 형성된 시 고유의 체계와 관습에 기반을 두고 있음.
2. 시의 형식과 층위들
1) 갈래: 민요, 시조, 가사, 자유시 등
2) 담화 양식: 독백, 대화, 편지, 전화 통화의 형식 등
a. 독백체와 대화체의 구분
ㄱ. 청자의 유/무
ㄴ. 청자가 있다면 대화체, 청자가 없다면 독백체
ㄷ. 벙어리 청자: 대화 형식의 독백체 (대화체, 독백체 모두 포함)
3) 문학적 기법: 아이러니(반어), 알레고리(우의) 등
4) 구조: 수미상관, 선경후정, 대칭 등
a. 수미상관
ㄱ. 앞부분과 뒷부분이 같거나 비슷한 문장 구조 반복
ㄴ. 효과: 운율, 강조, 구조적 안정감
b. 선경후정
ㄱ. 선경: 경치
ㄴ. 후경: 정서 (주제 의식)
ㄷ. 주로 한시에서 많이 사용됨
5) 진술 형태: 정형시, 자유시, 산문시, 이야기시, 극시 등
6) 외형: 시행 및 연의 배열 등
7) 화자-청자의 관계: 독백, 대화 등
8) 시상 전개: 원경(멀다)-근경(가깝다), 외부 풍경(바깥 모습)-내면세계(화자의 내면 심리), 과거-현재-미래 등
'2022 수능특강 문학 > 개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시의 내용 (0) | 2021.02.24 |
---|---|
시적 표현의 여러가지 효과 (0) | 2021.02.17 |
시적 표현의 개념 (0) | 2021.02.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