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 2. 8. 19:03ㆍ현대 문학/현대 시
아베요 아베요
‘아버지’의 경상도 방언 반복 → 토속적 정감과 아버지에 대한 애틋함 부각
내 눈이 티눈인 걸
문맹 – 축문을 못쓰는 처지
아베도 알러지요.
시구 반복 ① - 애틋한 정 강조
등잔불도 없는 제사상에
가난한 형편
축문이 당한기요.
당키나 한가요, 당치 않아요.
눌러 눌러
단어 반복 ② - 정성과 애틋함 강조
소금에 밥이나마 많이 묵고 가이소.
시구 반복 ② - 애틋한 정 (돌아가신 아버지에 대한 정성) 강조
돌아가신 아버지에 대한 정성
윤사월 보릿고개
보리 수확 이전 식량 사정이 가장 어려운 시기
아베도 알러지요.
간고등어 한 손이믄
아버지가 생전에 좋아하시던 것
아베 소원 풀어드리련만
제사상에 고등어를 올리지 못한 안타까움과 궁핍한 처지
저승길 배고플라요.
소금에 밥이나마 많이 묵고 묵고 가이소.
단어 반복 ③ - 정성과 애틋함 강조
1연 : 아버지의 제사상에 올리는 가난한 아들의 축문 (아들의 독백)
여보게 만술 아비
화자의 전환 – 1연의 화자가 2연에서 청자로 바뀜
니 정성이 엄첩다.
대견하다
이승 저승 다 다녀도
인정보다 귀한 것 있을라꼬,
있겠는가
망령(亡靈)도 응감(應感)하여, 되돌아가는 저승길에
죽은 아버지의 혼 / 마음에 응하여 느낌
니 정성 느껴 느껴 세상에는 굵은 밤이슬이 온다.
단어 반복 ④ - 정성을 느낌. 죽은 아버지의 눈물 – 망령의 감동, 감동하여 흐느낌
2연 : 아들의 정성으로 인한 망령의 감동 (제 3자의 평가)
'현대 문학 > 현대 시' 카테고리의 다른 글
꽃, 김춘수 해설 (0) | 2021.02.08 |
---|---|
황동규, 기항지 해설 (0) | 2021.01.14 |
김소월, 님의 노래 해설 (0) | 2020.09.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