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리와 사상 - 덕 있는 삶이란 무엇일까? (아리스토텔레스)

2021. 1. 14. 22:36윤리와 사상

아리스토텔레스 

 

1. 배경 

 1) 스승인 플라톤의 사상을 비판적으로 계승함

  a. 플라톤이 이상 세계 속에서 진리를 찾고자 했다면, 아리스토텔레스는 현실 속에서 참다운 존재를 찾고자 함

 2) 스승의 이데아론을 거부하고 현실 속에 진리가 있다고 봄 

  a. 플라톤에 비해 감각적이고 현실적인 지식을 중시한 측면이 있음

 3) 우리가 현실의 구체적인 삶을 살면서 어떻게 좋은 삶에 도달할 수 있는 가를 탐구할 것임을 분명하게 밝힘 (현실주의 사상가)

 

2. 목적론

 1) 인간의 궁극적 목적=행복

  a. 인간의 모든 행위는 선을 목적 -> 최고선은 행복

  b. 항상 이성적으로 판단하고 행위를 하기 위해서는 이성적 행동을 습관화해야 함 

 2) 이성적 행동을 습관화하는 것이 덕의 본질 

  a. 덕=교욱을 통해 형성되는 지적인 덕

          습관을 통해 형성되는 도덕적인 덕 (품성적인 덕): 감정의 행위와 관련한 덕으로서 중용의 특성을 지님 

 3) 중용: 과도함과 부족함의 중간 상태 

   a. 중용은 단순한 산술적 평균을 의미하지 않음 

   b. 구체적 상황에서 어떤 상태가 중용인 지 파악할 수 있는 지적인 덕 (실천적 지혜)이 필요 

    ex) 무모-용기-비겁, 낭비-후함-인색, 방종-절제-둔감, 허영심-관후-소심함

 

3. 주지주의+주의주의

 1) 참된 앎(=이성)이 도덕적인 실천으로 이어진다는 주지주의적 태도뿐만 아니라 덕 있는 사람이 되기 위해 의지를 강조한 주의주의적 입장 

  => 참된 앎을 행하려는 중용의 실천을 습관화하고 실천의지를 강조했기 때문이다 

 

4. 인간의 정치적 동물=인간은 정치 공동체 속에서 '시민'으로서의 책무를 다해야 함

 1) 모든 시민이 공동체의 삶을 통해 덕 있는 인간이 될 때 이상적인 국가가 실현될 수 있다고 봄 

    =개인의 선이나 자아실현이 국가나 사회에서의 도덕적 삶을 통해 가능

 

5. 이후 영향을 준 사상

 1) 중세 후기: 토마스 아퀴나스

 2) 현대 덕 윤리 (공동체주의): 매킨타이어 

 3) 근대 철학, 자연과학적 관점에서 인간, 사회, 국가의 본질 규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