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리와 사상 - 소크라테스와 보편주의적 전통

2020. 10. 18. 18:22윤리와 사상

1. 인류의 스승 소크라테스 

 1) 배경: 아테네 사회가 전쟁 등으로 혼란에 빠지자 보편적 진리가 없다는 상대주의, 회의주의 태도 퍼짐

 2) 소크라테스는 소피스트의 상대주의를 비판 

    절대적이고 보편적인 윤리가 있다고 주장 

    => 인간의 본성인 이성으로 보편적 진리를 알 수 있음 

 

2. 추구한 가치

 1) 선한 삶

 2) 정신적 가치

 3)

  a. 어떤 종류의 탁월함 (=arete) 

  b. 도덕적 미덕

  c. 각각 존재의 참된 목적 

  d. 개인의 잠재된 기능성의 실현과 관계된 최상의 우수성 

 

3. 소크라테스의 주지주의 

 1) 소크라테스는 선한 삶을 살려면 선에 대해 알아야 함

 2) 앎은 단순한 지식이 아니라 "영혼의 수련을 통해 얻어진 깨달음" 

 3) 소크라테스의 관점에서 악을 행하는 이유 

  a. 선을 모르기 때문에 악을 행하는 것 

  b. =선한 것이 무엇인지 알면 선한 행동을 할 수 있음 (지행합일)

  c. =알면서도 악을 행하는 것은 있을 수 없음

  d. 선을 알면 실제로 행하고 > 행하면 덕 있는 사람이 되고, 행복을 얻을 수 있음 (지덕복합일설) 

 

4. 소크라테스의 교육법=문답법, 산파술 

 1) "네 자신을 알라" 

 2) 소크라테스는 각자 자신의 무지를 자각하고 진리를 추구할 것을 강조하였음

 3) 아테네 젊은이들에게 문답법을 통해 기존의 지식과 관습에 의문을 제기하고 끊임없이 진지를 추구하도록 독려함

 4) 재산을 쌓는 일, 몸매를 만드는 일 등보다 "인간의 영혼을 돌보는 일"을 최대의 관심사로 봄

 5) 성찰하지 않는 삶은 살 가치가 없다 

     =인간의 삶을 면밀히 검토, 반성할 것을 강조 

 

5. 소크라테스의 보편주의

 1) 모든 사람과 모든 사회 환경에 타당한 객관적이고 보편적인 도덕 원리들이 존재한다는 입장

 2) 보편주의의 장점: 상대주의가 가지기 쉬운 회의주의, 허무주의를 극복 가능

 3) 보편주의의 단점: 보편적 윤리만 강조함으로써 경직된 사고와 독선적 태도를 불러일으킬 수도 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