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리와 사상 - 선종

2020. 7. 28. 18:53윤리와 사상

1. 선종의 등장 배경

1) 교종이 경전 공부를 중시하고 엄격한 계율의 준수와 단계적 수행을 강조한 나머지 자기 정신의 수행을 소략히 하고 거대한 종단의 조직 체계를 운영하면서 세속의 폐단을 낳음

2) 이를 비판하면서 붓다의 본래 가르침으로 돌아가자는 기치 아래 단박에 깨달음(=돈오)이 있어야 란다고 주장하는 선불교가 등장

2. 대표 사상

- 염화미소: 말로 통하지 아니하고 마음에서 마음으로 전하는 일

- 이심전심: 마음에서 마음으로 전한다는 뜻

- 심심상인: 묵묵한 가운데 서로 마음이 통함

- 교외별전: 문자를 쓰지 않고, 따로 마음에서 마음으로 진리를 전하는 일

- 불립문자: 진정한 깊은 진리는 말이나 글을 써서 전할 수 없다는 말

=> 모두 붓다의 가르침을 적은 불경에 집착할 것이 아니라 자신에게 부처러럼 본래 청정한 마음이 있음을 깨달음으로써 성불할 수 있다고 주장

3. 대표 승려: 인도 승려 (달마), 중국 승려 (혜능) 

 

2. 혜능의 사상

1) 선종은 일체의 사변적 논리나 경전을 익히는 데 노력을 경주하는 교종의 입장을 배격하고 단박에 깨침임 '돈오' 를 주장한다. 또한 문자에 얽매이는 일 없이 세상의 본질을 꿰뚫어 보는 지혜와 그 어떤 것에도 흔들림이 없는 다음 가짐을 갖는 것이야 말로 붓다의 근본 가르침이라 봄

2) 선종불이: 선정과 지혜는 둘이 아니다.

 "선정과 지혜의 본체라면 지혜는 선정의 작용이다. 걷거나 서거나 앉거나 눕거나 마음에 흔들림이 없어 절로 지혜의 빛이 발하는 것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