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자 미상, 가시리 해설
2021. 5. 4. 18:15ㆍ2022 수능특강 문학/작품 해설
가시리/ 가시리/잇고/ 나는
332조, 3 음보 여음구 1. 의미 X
(반복, 직설적) 2. 음률을 맞추기 위함
버리고 가시리잇고 나는
둘의 관계 짐작 가능
위 증즐가 대평성대(大平成代)
감탄사, 악기의 소리 (의성어)
후렴구 (조흥구, 여음구)
공중악 가사로 편입되는 과정에서 삽입
기: 이별 확인, 애원, 하소연, 원망
날러는 어찌 살라하고
(미래) 전통적인 여인의 모습-수동적 자세
버리고 가시리잇고 나는
위 증즐가 대평성대(大平成代)
승: 원망의 고조, 허탈감, 슬픔
잡사와 두어리마나는
선하면 아니 올세라
올까 두려워서
위 증즐가 대평성대(大平成代)
전: 감정의 절제와 체념
설온 님 보내옵나니 나는
서러운
(중의적 의미)
1. 임이 서럽다 (표면적)
2. 화자가 서럽다
가시는 듯 돌아오소서 나는
(=가자마자 돌아오세요)
간절한 기다림
위 증즐가 대평성대(大平成代)
결: 임이 돌아오기를 소망, 간절한 염원
* -ㄹ셰라
1. 의구형: -할까 두렵다
2. 감정의 절제와 체념 (절제된 서러움)
=> 전통적 여인의 모습
'2022 수능특강 문학 > 작품 해설' 카테고리의 다른 글
득오, 모죽지랑가 현대어 해설 (0) | 2021.05.04 |
---|---|
백수 광부의 아내, 공무도하가 해설 (0) | 2021.05.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