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53)
-
작자 미상, 가시리 해설
가시리/ 가시리/잇고/ 나는 332조, 3 음보 여음구 1. 의미 X (반복, 직설적) 2. 음률을 맞추기 위함 버리고 가시리잇고 나는 둘의 관계 짐작 가능 위 증즐가 대평성대(大平成代) 감탄사, 악기의 소리 (의성어) 후렴구 (조흥구, 여음구) 공중악 가사로 편입되는 과정에서 삽입 기: 이별 확인, 애원, 하소연, 원망 날러는 어찌 살라하고 (미래) 전통적인 여인의 모습-수동적 자세 버리고 가시리잇고 나는 위 증즐가 대평성대(大平成代) 승: 원망의 고조, 허탈감, 슬픔 잡사와 두어리마나는 선하면 아니 올세라 올까 두려워서 위 증즐가 대평성대(大平成代) 전: 감정의 절제와 체념 설온 님 보내옵나니 나는 서러운 (중의적 의미) 1. 임이 서럽다 (표면적) 2. 화자가 서럽다 가시는 듯 돌아오소서 나는 (=..
2021.05.04 -
득오, 모죽지랑가 현대어 해설
(지나)간 봄 그리워함에 죽지랑과 함께한 기억 (=과거에 대한 그리움) 모든 것이 서러워 시름하는데 감정이입체 자신의 지극한 슬픔 기: 이별의 슬픔 아름다움을 나타내신 죽지랑의 훌륭한 인품 얼굴이 주름살을 지으려 하옵내다 승: 회상, 늙음에 대한 한탄 (=탄식) 눈 돌이킬 사이에나마 (=순식간에) 만나 뵙도록 하리이다 전: 재회에 대한 소망 낭이여 그리운 마음의 가는 길이 호격 (낙구) 비유 다북쑥 우거진 마을에 잘 밤이 있으리이까 힘든 현실, 무덤 확신 결: 재회에 대한 믿음과 의지 갈래: 8구체 향가 정서: 추모, 찬양, 서정 내용: 죽지랑 인품에 대한 사모와 추모의 정 특징: 다른 향가에 비해 주술성과 종교적 색채가 없는 순수한 서정시 기타: 화랑도가 쇠퇴해가는 과정을 암시하는 작품으로 보는 견해도..
2021.05.04 -
백수 광부의 아내, 공무도하가 해설
公無渡河 임아 물을 건너지 마오 화자의 사랑 기: 임이 물을 건너는 것을 만류함 公竟渡河 임은 기어이 물을 건너시네 단절, 이별 승: 임이 물을 건넘 墮河而死 물에 빠져 돌아가시니 죽음 전: 임이 물에 빠져 죽음 當奈公何 이제 임을 어이할꼬 결: 임을 잃은 화자의 슬픔과 체념 (비애감) 물의 의미 변화 a. 화자의 사랑 (기) b. 단절, 이별 (승) c. 죽음 (전) 내용: 임을 여읜 슬픔-이별의 한 정서: 서정, 애상, 체념 의의: a. 현존 최고의 서정가 b. 민족의 보편적 정서인 한을 다룸 c. 과도기적 작품 (시기, 형태) 집단가요 -> 개인적 서정시
2021.05.04 -
실천 윤리와 윤리 문제에 대한 탐구 (2)
1. 도덕적 탐구 방법 1) 도덕적 추론: 도덕 판단에 대한 논리적 타당성을 검토하는 방법 a. 도덕원리 (대전제): 사람은 죽는다 b. 사실판단 (소전제): 소크라테스는 사람이다 c. 도덕판단 (결론): 소크라테스는 죽는다 2) 비판적 사고: 사실 판단의 진위, 통용되는 규칙이나 관습, 사회에서 인정되는 권위 및 권위자의 명령, 개인의 도덕적 감정과 양심 등에 대해 비판적으로 검토하는 것 3) 배려적 사고: 공감 능력에 근거하여 타인의 욕구나 필요에 관심을 두고 그의 처지에서 생각하며 그 필요를 충족해 주고자 하는 것 2. 도덕적 탐구의 과정 1) 윤리적 쟁점 또는 딜레마 확인 2) 자료 수집 및 분석 3) 입장 채택 및 정당화 근거 제시 4) 최선의 대안 도출 5) 반성적 성찰 및 입장 정리 3. 반..
2021.03.10 -
실천 윤리와 윤리 문제에 대한 탐구 (1)
1. 윤리와 윤리학 1) 윤리의 의미 a. 동양: 인간이 마땅히 지켜야 할 도리 b. 서양: 사회의 풍습 또는 관습, 개인의 성품 또는 품성 c. 의미: 인간이 살아가면서 지켜야 할 행동의 기준이나 규범 2. 윤리학의 의미와 특징 1) 의미: 사회의 승인을 통하여 구속력을 지니고, 당위의 형식으로 제시되는 규범과 가치의 총체인 윤리를 연구 대상으로 삼는 학문 2) 특징: 인간의 도덕적 행위의 실천을 목적으로 삼고, 인간의 행위가 도덕적 차원에서 인정받기 위해 갖추어야 할 조건이나 기준을 탐구함 3. 윤리학의 분류 1) 규범 윤리학 a. 의미: 도덕적 행위가 근거가 되는 도덕 원리나 인간의 성품에 관해 탐구하고 (이론 규범) 이를 바탕으로 도덕적 문제의 해결과 실천 방안을 제시함 (실천 규범) b. 이론 ..
2021.03.10 -
윤리와 사상 - 행복의 추구 방법 (쾌락의 추구와 평정심)
1. 헬레니즘 시대의 특징 1) 알렉산더 대왕에 의해 세워진 제국의 질서와 함께 개인적인 행복과 평온을 강조하는 개인주의의 등장 2) 제국의 시민으로서 결속력을 강조하며, 제국의 일원으로서 동질성을 주장하는 세계시민주의 등장 2. 행복=쾌락 (pleasure) 1) 키레네 학파: 행복은 최대한 쾌락을 추구하는 것 a. "쾌락을 극대화하는 것이 행복을 달성하는 유일한 길" -아리스티포스- 2) 키레네 학파 아리스티포스가 지향하는 삶은 결국 '쾌락의 역설' 현상을 유발함 a. 쾌락의 역설: 감각적, 육체적 쾌락은 순간적인 쾌락을 얻을지는 모르나 오히려 고통에 빠질 수 있다는 현상 3. 에피쿠로스 학파 등장 1) 에피쿠로스가 추구한 쾌락: 모든 정신적, 육체적 고통으로부터의 해방 a. 순간적인 쾌락이 아닌 지..
2021.02.26